NEWS
나체사진 유포 협박, 반드시 알아야 할 증거 확보와 신고 방법
나체사진을 유포하겠다고 협박당했다면 심장이 내려앉는 듯한 공포와 수치심, 그리고 막막함에 사로잡히실 것입니다.
세상에 알려질까 봐 숨죽이며 홀로 고통을 감내하려 하시겠지만, 이것은 명백한 범죄이며, 절대 피해자의 잘못이 아닙니다.
협박하는 가해자만이 유일하게 잘못을 저지른 사람입니다.
오늘은 나체사진 유포 협박 으로 고통받고 있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1. 나체사진 협박, 어떤 범죄인가요?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성폭력처벌법)에 따르면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촬영한 영상물, 복제물 또는 복제물의 복제물을 이용해 협박하는 행위는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할 수 있습니다. |
당사자의 동의하에 촬영된 영상이라 할지라도 이를 빌미로 한 협박은 엄중하게 처벌될 수 있습니다.
만약 나체사진이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촬영된 것이라면, 촬영 행위 자체로도 불법촬영이 성립하고 7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으로 처벌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이를 유포하는 행위는 훨씬 더 무거운 처벌을 받습니다.
그리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
통신매체를 이용해 불안감, 공포심을 유발하는 문자, 영상 등을 반복적으로 전달하면 통신매체이용음란죄(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나 명예훼손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2. 협박을 당했을 때 주의 사항은? |
두려움 속에서 가해자의 요구를 들어주면 상황이 해결될 것이라는 착각을 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협박을 당했을 때는 절대 가해자의 요구에 응해서는 안 됩니다.
가해자는 돈, 또 다른 사진, 만남 등을 요구하며 협박을 계속할 것입니다.
한번 요구를 들어주면 끝이 아니라, 더 큰 요구와 지속적인 협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그리고 가해자가 사진 삭제했다고 말해도 믿어서는 안 됩니다.
이미 사진을 가지고 있다면 쉽게 지우지 않을 것이며, 이를 빌미로 계속 협박할 것입니다.
이런 종류의 문제는 피해자 혼자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스스로 해결하려다가 가해자의 협박에 더 깊이 빠져들게 될 수 있습니다.
3. 나체사진 협박 피해,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
1단계: 모든 협박과 관련된 증거를 확보 |
가해자가 보낸 문자 메시지, 카카오톡 메시지, 이메일, SNS 메시지 등 협박 내용이 담긴 모든 대화 내용을 절대 삭제하지 말고 빠짐없이 캡처해야 합니다.
전송 시간과 날짜까지 명확히 보이도록 상세하게 캡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가해자와 통화하게 될 경우, 반드시 모든 대화를 녹음합니다.
녹음한다는 사실을 상대방에게 미리 통보할 필요는 없습니다.
협박 내용이 명확히 담기도록 유도하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가해자의 연락처, 계정 아이디, 프로필 정보, 알고 있는 인적 사항 등 모든 정보를 빠짐없이 기록해야 합니다.
그리고 협박에 사용된 나체사진이나 영상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있거나 원본을 보관하고 있다면 해당 사진이나 영상 파일도 증거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2단계: 즉시 신고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요청 |
확보된 증거 자료들을 가지고 지체없이 경찰에 신고해야 합니다.
경찰은 가해자 수사와 함께 불법 촬영물 유포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는 여성가족부 산하기관으로, 불법 촬영물 삭제 지원부터 수사 의뢰, 법률 지원 연계, 심리상담까지 지원합니다.
나체사진 협박은 증거 확보, 유포 방지, 가해자 특정, 형사고소 진행,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등 복잡하고 전문적인 대응이 요구됩니다.
성범죄 피해자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초기 대응부터 재판, 피해 회복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지원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변호사는 가해자와의 불필요한 접촉을 차단하고, 법률적으로 피해자의 권리를 보호하며 최적의 해결 방안을 모색합니다.
특히 협박범이 실제로 사진을 유포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성범죄 피해자 변호사와 상의하여 온라인상의 유포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발견 즉시 삭제 요청 및 추가적인 법적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나체사진 유포 협박은 피해자의 인격을 말살시키고 삶을 파괴하려는 중대한 범죄입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 2025.09.30